지난 게시물에서 RDS를 생성해보는 과정을 다뤘다.
[AWS]Chapter07_AWS RDS 생성(feat.MySQL)
RDS 개념 RDS(Realational Database Service)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와 'NoSQL' 두 가지로 나누어 진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행과 열
chynmn.tistory.com
이번 게시물에서는 새로운 RDS(지난 게시물에서 만들었던 RDS 삭제)를 생성하고,
PHP와 RDS를 연동하여 URL에서 게시판 웹페이지를 실행해 볼 것이므로,
'RDS생성 -> 인바운드 규칙 설정 -> php & mysql 연동 패키지 install -> mysql 계정 생성 및 워크밴치 연동'
과정은 지난 게시물에 있으니 이번 게시물에서는 그 과정을 생략하고 작성하도록 한다.
새로운 DB 생성 및 테이블 생성
clouddb를 생성하고 다음과 같은 쿼리를 실행해 board, message, members 테이블을 생성한다.
로컬에 있는 파일을 EC2에 옮기기(feat. cyberduck)
미리 로컬에서 작성해둔 php파일(웹 페이지 구현한 부분)들을 서버에 배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SFTP(SSH File Transfer Protocal) 연결
인스턴스 연결 후 php파일들을 ubuntu의 홈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의 주소를 브라우저에서 접속했을 때 /var/www/html/ 위치에 있는
index.html(.php)파일을 불러오기 때문에 이 위치로 파일들을 옮겨준다.
홈디렉토리의 파일들을 /var/www/html/ 디렉토리로 복사하는 명령어는
~$ sudo cp -r * /var/www/html/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의 주소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 후 위에서 등록해두었던 member 데이터를 이용해 로그인할 수 있다.
PHP와 RDS를 이용해 기본적인 CRUD가 가능한 웹페이지를 서버에 배포해보았다.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Chapter10_Docker로 Mysql 서버 구축하기 (0) | 2023.05.31 |
---|---|
[AWS]Chapter09_AWS S3 (0) | 2023.05.23 |
[AWS]Chapter07_AWS RDS 생성(feat.MySQL) (0) | 2023.05.01 |
[AWS] Chapter06_리눅스 명령어 (0) | 2023.04.13 |
[AWS] Chapter05_AWS EC2생성 (0) | 2023.04.06 |